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8

1993.11.14 (SFC판 스트리트 파이터2) 1993.11.14나는 이날 게임기를 처음 샀다. 전에 갖고있던 MSX(IQ 1000), PC엔진은 모두 친척집에서 준 것들이였고, 꽤나 마이너한 물건들이기도 해서 패밀리나 메가드라이브를 하려고 친구네 집에 많이도 다녔었다.그 해 여름 내내 어머니를 조른 결과, 드디어 나에게도 슈퍼패미콤이 생긴 것이다. 문답에도 썼지만 게임기를 사가지고 왔을 때, SF2가 우리집 TV에서 돌아갈 때의 감동을 나는 잊지 못한다. 당시 우리 동네에는 일기에 쓰여 있는 형 한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패밀리였고 슈퍼패미콤이란 것은 파이널 파이트가 오락실에서 대히트하던 시절에 '슈퍼패밀리라는 게임기로 파이널 파이트가 있대. 근데게임기 가격은 30만원이 넘고, 팩 가격도 10만원이래' 라는 풍문으로만 알고 있었다. 내가 게임잡지를많이.. 2005. 11. 26.
[문답] 콘솔 게이머 33문 33답 콘솔게이머 33문 33답 틸더마크님 블로그에서 펌~(무려 포스팅후 11개월만에..-_-;) 1. 당신의 콘솔 게이머로서의 경력은? =>아케이드는 콘솔 게임이 아니지만..일단 87년에 서유강마록으로 처음 시작했으니 18년이 된다. 2. 당신이 머리털나고 처음으로 접해보았던 콘솔은? =>큰집에서 얻어온 IQ 1000. 테이프는 못 만져봤고 3.5인치 디스크 드라이브가 있었다. 콘솔 이외에는 어떤 기능도 사용하지 않았으니 콘솔로 취급하겠다;; 3. 현재 보유하고 있는 콘솔은? =>PC엔진(초기형), SFC, PS1, PS2, SWS(스완 크리스탈), GBL(구입한지 보름 후에 GBC소식이 나와서 OTL...) 4. 지금까지 보유했었던 콘솔은? (보유했던 순서대로)MSX(IQ 1000), PC엔진(제일 초기형).. 2005. 11. 24.
넥슨 채용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고대에서 채용설명회를 한다길래 평소 그 분야에 관심이 많은 저는.. 추첨해서주는PSP때문에 게임 기획자에게 필요한 역량. 특히 프로그래밍 지식이라든가 능력이 대체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지 궁금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아쉽게도 그래픽 디자이너와 프로그래밍은 실무자가 나 와서 업무를 자세히 소개해 주었는데, 기획자는 넥슨에서 일하는 고대 동문이 없어서인지 원론적인 설명 뿐이더군요. 설명회가 끝난 후 저는'게임 기획자가 되기 위한 프로그래밍 능력의 척도가 너무 모호한데 문과대에 다니는 저로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실질적으로 어느정도의 지식이 필요합니까?' 하고 물었습니다. 프로그래머 분이 답변을 해 주셨는데 그것은.. "게임의 기본적인 구조를 짜는 데에 있어 구현할 것에 대한 간단한 스크립트를 .. 2005. 11. 23.
1993.6.19 (파이널 파이트2, 마이티 파이널 파이트) 1993.6.19 당시 나는 초등학교 5학년으로 PC엔진(휴카드만 되는 첫 버전)을 갖고 있었다. 소프트 하나를 가지고 한 달에 한 번 교환하며 즐기던 시기이기 때문에 게임잡지를 보고 또 봤으니 이렇게 일기에까지.. 친구들이 초등학생이였던 만큼 대부분 패밀리를 즐기고 있었고 집보다도 매일 오락실에 가서 스트리트 파이터를 했다. 1993년은 슈퍼 패미컴이 전성기를 맞으며 각종 명작을 양산해 내기 시작했던 시기였다. 비록 2,3인자였지만 세가의 메가드라이브와 NEC(알맹이는 허드슨)의 PC엔진도 나름대로 좋은 게임들을 많이 배출한 시기였다. 32비트 진영의 시기와 비교하면 1997년도와 비슷한 해였다고 볼 수도 있다. 당시 나는 초등학교 5학년으로 PC엔진(휴카드만 되는 첫 버전)을 갖고 있었다. 친구들이 .. 2005. 11. 21.
80년대생 문답~ 80년대생 문답 Ver.Maniac(3차 수정) 탐미여제님 블로그에서 트랙백했습니다~ 01. 드래곤볼이나 스트리트 파이터, KOF, NBA(농구)선수들이 그려져있던 뽑기 혹은 스티커 카드를 모았던 적이 있다. -> 우리동네에서는 나름대로의 화폐단위가 있었다. 기본단위는 SF2카드 1장이고 SF2대쉬 카드는 SF2카드 2장과 동일가치, 드래곤볼 카드 2장은 SF2카드 1장과 같다는 등의.. 02. 스트리트 파이터에 등장하는 캐릭터들의 이름 문제로 친구들과 싸운 적이 있다(EX) A: 글쎄 얘는 베가가 맞아. B: 아냐, 걘 빈슨이야. C: 어, 바이슨 아니었어?) 위 질문의 카드로 그런 논쟁이 촉발됐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우린 빨간도복(켄), 하얀도복(류), 여자 ;;(춘리)와 야수(브랑카), 고무.. 2005. 11. 16.
RPG, 확률과 변수의 리얼리티 게임이라는 문화가 생겨난 이래 가장 많이 플레이되는 장르는 무엇일까? 전 세계를 아우르자면 RPG, 액션, 스포츠겠지만 일본과 우리나라의 게이머에게 국한하여 묻는다면 보통 RPG라고 대답할 것이다. 온라인 게임 의 전세계적인 확장과 가능성을 보여준 장르 역시 RPG였다. RPG란 과연 어떻게 해서 생겨난 물건인지에 대해 깊이 파고들어 보고자 한다. 나는 중학생 시절 RPG라는 약어의 의미가 궁금해서 사전에서 Role Playing을 찾아봤을 때 '역할 연기'이라 고 나와 있었지만 그 시절 그 해석은 나에게 아무런 의미가 되지 못했다. '주인공 캐릭터가 동료를 얻어 세계 를 모험하는 것','아주 드문 경우가 아닌 이상 1인용' 이 내 머릿속의 RPG의 정의였는데 역할 수행이라니 말 이다. 지금 돌이켜보면 .. 2005. 11. 12.